요즘 시국이 하도 어지러워서 갑자기 옛날 이솝우화 ‘짚신장사와 우산장사 자식’이 생각났어요.
서로 다른 상황에 놓인 자식을 걱정하는 어미의 마음과 요즘 현대인의 심리 비교 분석해 봤습니다.
옛날 이솝우화에는 "짚신장사와 우산장사 아들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머니는 두 아들이 있는데, 한 명은 짚신을 만들어 판매하고, 다른 한 명은 우산을 팔고 있었습니다.
- 비가 오면 짚신장사 아들의 장사가 안 될까 걱정.
- 해가 뜨면 우산장사 아들의 장사가 안 될까 걱정.
즉, 항상 부정적인 측면만 바라보고 걱정하며 살아가는 심리를 표현한 이야기입니다.
현대 사회와의 비교 - 걱정과 불안의 심리학
현대 사회에서도 이와 같은 심리가 일반적인 사람들의 사고방식으로 나타납니다.
과거와 비교하여 현대인은 더욱 다양한 걱정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습니다.
1. 현대인의 걱정 심리와 비교
과거와 비교하여 현대인은 SNS, 경쟁 사회, 경제적 불안정성 등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형태의 걱정과 불안을 경험합니다.
옛날(이솝우화)
|
현대 사회(걱정과 불안의 심리)
|
날씨에 따라 짚신장사와 우산장사 아들의 장사를 걱정
|
경기 변화, 직장 문제, 미래 불안, 건강 걱정
|
날씨에 따라 변화하는 매출을 걱정
|
주식 시장, 부동산 가격, 환율 변동에 대한 걱정
|
하나의 문제만 생각하며 고민
|
멀티태스킹 속에서 여러 걱정을 동시에 함
|
가족과 생계에 대한 단순한 걱정
|
경제적 문제, 사회적 비교, 심리적 스트레스까지 확장
|
과거보다 현대인은 훨씬 더 복잡하고 다층적인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2. 걱정이 많은 현대 사회의 이유
1) SNS와 정보 과부하
과거에는 단순한 생활 걱정이 많았지만, 현대인은 SNS와 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비교당함.
남들과 비교하며 “나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걱정으로 발전.
정보가 많아질수록 불안도 증가하는 "FOMO(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현상.

2)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
불안정한 경제 상황, 취업난, 경쟁 심화로 인해 미래에 대한 걱정 증가.
100세 시대, 노후 대비 걱정, 직장 안정성 문제.
3) 멀티태스킹 시대의 스트레스
과거보다 더 많은 역할 수행(회사원, 부모, 배우자, 개인 취미 등).
한 번에 여러 가지를 처리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어 걱정도 다층적으로 변함.
4) 사회적 비교 심리
옛날에는 단순히 장사 걱정만 했지만, 현대인은 주변 사람들과 끊임없이 비교하며 불안함을 느낌.
예) “친구는 승진했는데 나는 언제?” “동창은 결혼했는데 나는 아직...?”
5) 끊임없는 성취 압박
“더 잘해야 한다”는 강박이 현대인의 걱정을 증가시킴.
과거보다 삶의 질이 높아졌음에도 더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
3. 긍정적인 사고의 필요성 – 해결책
이솝우화에서 걱정이 많은 어머니에게 누군가가 이렇게 조언합니다.
"날씨에 따라 걱정할 것이 아니라, 비가 오면 우산장사 아들이 잘 될 것을 기뻐하고, 해가 뜨면 짚신장사 아들이 잘 될 것을 기뻐하라."
현대인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관점을 바꾸기 – 긍정적인 해석
- 부정적 사고: “경제가 어렵다, 내 직업이 불안하다.”
- 긍정적 사고: “위기 속에서도 기회가 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해보자.”
- 부정적인 면보다 긍정적인 부분을 찾는 연습이 필요.
(2) 현재에 집중하기
- 현대인은 미래 걱정이 많지만, 대부분 미래의 걱정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다.
- 명상, 운동, 취미생활 등 현재의 순간을 즐기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
(3) 비교하지 않기
- 남들과 비교할수록 불안감이 커짐.
- “내 속도에 맞게 가자.” 라는 마인드셋이 필요.
(4) 감사하는 습관 들이기
- 현대인은 더 나은 것을 찾으려 하지만, 지금 가진 것에 대한 감사를 잊음.
- 하루에 한 가지씩 감사할 일을 찾아 기록하는 감사 일기 쓰기 추천.